메뉴 건너뛰고 본문 바로가기


교육과정

사이드바

교육과정


>교육과정>교과목소개

교과목소개

무역인의 창의성개발(Trader's Development of Creativity)

사회의 구조가 점점 복잡해지고 사회의 변화속도가 점점 빨라지면서 학문적 융합현상이 점차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한 사람의 뛰어난 창의성에 보다는 다수의 잠재적 능력의 활용을 통한 과제 수행 및 문제해결방법이 더욱 중요하게 부상되고 있다. 따라서 천재적 능력을 지닌 한사람의 창의성에 의존하기 보다는 구성원들의 잠재능력을 활용하기 위해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 창의성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이다.

전자상거래와 무역정보(E-Commerce and International Trade Information)

전자상거래가 일상 생활화됨에 따라 이를 통한 무역관련 정보검색, 정보의 가공방법 및 활용이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교과목에서는 다양한 온라인 네트워크를 활용한 무역 관련 정보검색, 무역정보의 체계적 정리, 분석, 가공 및 활용능력을 배양함으로써 원활한 무역업무 수행을 위해 필요한 무역정보의 활용능력을 제고하도록 한다.

글로벌 비즈니스 매너(Global Business Etiquette)

개방화, 글로벌화 시대에 발 맞추어 비즈니스맨으로서 활동하기 위해서 글로벌 매너를 갖추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교과목에서는 글로벌 시대에 필요한 글로벌 매너에 대한 학습과 더불어 무역거래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상황에 대한 글로벌 매너와 에티켓을 익혀 무역전문인력으로서 필요한 역량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무역실무(International Business Transactions)

국제무역은 모든 국가에 있어서 경제의 중요한 축을 이루고 있으므로 무역을 통해서만 한 국가의 경제체제를 유지하면서 경제성장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복잡한 경제이론적인 지식보다는 법과 규칙을 근거로 하면서 무역거래의 절차에 따른 수출입상 간의 무역계약을 원활히 성사시키고 그에 따른 계약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행적인 운송, 보험, 결제 등 무역실무에 관하여 총괄적이면서 동시에 전문적인 지식에 관련된 내용을 수업한다.

국제통상론(Theory of International Commerce)

세계경제가 단일 경제권으로 통합됨에 따라 국제거래가 늘어나고 거래형태 또한 다양화됨에 따라 기업들의 국제적 활동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 주는 한편, 국가간 경쟁이 심화되고 분쟁과 마찰의 소지도 그만큼 커지기 때문에 국제통상활동에는 기회와 도전이 늘 상존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현상과 체제의 분석을 위하여 각국의 통상정책, GATT와 WTO체제의 비교분석, 신라운드의 주요사항, 환율문제, 해외직접투자, 경제블록 등을 주제로 다루기로 한다. 이러한 주제의 분석을 통하여 국제무역을 둘러싼 국제기구와 국제협정 각국의 무역정책수단과 그 효과를 연구하고, 자유무역과 보호무역에 대한 균형적 시각을 확립하며, 국제통상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이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통상환경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학습의 주안점을 둔다.

국제유통론(Principles of International Distribution)

유통이란 적정한 제품을 적정한 시간과 적정한 장소에 적정한 가격으로 제공하는 고객만족 시스템이다. 본 과목은 유통에 관한 일반이론 및 관리기술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교육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과목에서는 유통에 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 생산자로부터 최종소비자에 이르는 유통경로를 하나의 전체적 시스템으로 인식하여 기본개념을 소개하고 관련된 주제들을 다룬다.

무역조사방법론(International Trade Survey Methodology)

무역을 시행하기 위한 국내외의 모든 무역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론을 학습하고, 무역동향 자료와 각국의 해외시장정보, 국내외의 지원사업정보 등의 정리방법과 활용법에 대하여 배우고, 각종 정보의 분석방법과 그 해석법을 익힌다.

국제경제학(International Economics)

국제경제학은 무역이 성립되는 기본원리는 무엇이며, 무역이익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그리고 무역을 통하여 얻어지는 이익의 크기는 어느 정도이며, 그 이익은 교역 당사자간에 어떻게 분배되는가 등 그 원리를 규명하는 교과목이다. 본 과목에서는 국제경제거래의 개념, 국민경제와 국제경제, 국제수지, 외환거래, 가격 및 소득변동과 무역의 영향 등을 학습하는데 의의가 있다.

무역마케팅(International Trade Marketing)

무역마케팅은 다수의 해외시장을 대상으로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는 것을 말하며, 그 활동이 국경을 초월하여 경제, 사회, 문화, 법률 등이 이질적인 환경에서 이루어지므로 효과적인 무역마케팅 전략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질적인 환경의 이해와 마케팅수단의 구성과 그 활용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무역관계법(Foreign Trade Related Acts)

대외무역의 건전한 발전을 촉진함으로써 국제수지의 균형과 국민경제의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대외무역관계법은 대외무역제도의 기초, 무역관리기관, 수출입의 승인, 수출입의 거래형태 및 사후처리 등 국제화와 수입자유화시대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우리나라 무역관리제도의 골격 등을 다룬다. 본 과목에서는 이러한 대외무역 관리에 관한 지식을 습득, 이해함으로 인해서 장차 무역실무자로서의 자질을 갖추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FTA와 국제무역(FTA and International Trade)

1980년대 이후 세계경제의 장기적인 침체와 국제적인 산업구조조정의 지연 등으로 인하여 보호무역주의가 팽배해지면서 세계경제는 글로벌화와 더불어 지역화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최근 세계경제의 지역화는 FTA라는 형태로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통상환경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교과목에서는 FTA라는 주제의 분석을 통하여 지역통상환경의 본질을 이해하고, 통상분야에서 대두되는 새로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최근에 체결되고 있는 주요국과 FTA에 관련된 사례를 분석을 통하여 통상현안문제에 대한 현실적 인식과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무역영어(International Trade English)

무역이란 국제 상거래이기 때문에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상호 공통적인 언어가 요구된다. 특히 국제상용어로서 영어는 필수적이다. 따라서 무역영어는 개인이나 기업이 그들의 특정 또는 불특정 거래처와의 상거래를 개설·성사·유지하는데 필요한 국제통신수단이라는 점에서 국제거래에 사용되는 영어를 이해하고 무역서한의 구성요소와 체제 및 작성방법을 개관하고, 무역거래 전반에 걸쳐 모델서한의 탐구를 통하여 무역업무의 수행에 필요한 기본적인 영문무역서한의 이해와 활용능력을 함양시킨다.

국제금융 및 외환관리(International Finance and Foreign Exchange Management)

세계화와 함께 한국경제는 기업의 국제화와 금융의 국제화가 강조되어 국제금융의 중요성이 재삼 부각되고 있으며 외국환 거래 및 해외여행이 자유화됨에 따라 개인에게도 외환시장의 이해는 필수적이 되고 있다. 일국의 경제가 지속적으로 성장·발전하려면 국내경제와 국제경제가 잘 조화되어야 한다. 그 매개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외국환이다. 이 과목에서는 현행 외국환관리법의 자유화 방향과 내용을 살펴보고 외환에 관한 기초실무 및 이론들을 공부하여 계속적으로 변하는 우리나라의 외국환관리제도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전자무역(Electronic Trade)

종이서류 없는 무역시대를 구현시키는 전자무역거래는 21세기 정보·지식기반의 경제를 이끄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이는 오늘날 국가경제와 사회의 변혁을 주도하는 핵심수단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교과목에서는 인터넷을 통한 거래당사자의 정보수집에서부터 거래협상, 계약체결, 그리고 EDI를 통한 운송·보험·결제·통관 업무 등의 제반 무역절차와 관련하여 이에 대한 이론적·실제적 기본원리에 관한 검토와 이에 대한 실습교육을 병행한다. 그리하여, 전자무역거래상의 문제점 분석과 대안 모색 및 향후의 해결과제 등에 대한 조화로운 논의를 통해 전자무역에 대한 이해력과 적용력을 제고시키는데 그 주안점을 둔다.

무역전산회계실무(Trade Computerized Accounting Practice)

기초적인 전산회계 개념을 강의하고, 무역기업 및 상기업을 중심으로 한 초보적인 수준의 전산회계실습을 병행한다. 본 강좌의 목표는 회계원리에서 습득한 회계처리방법 및 재무제표의 연관관계를 이해하고, 전산회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론적으로 습득한 내용에 대한 실무적 활용방법을 이해하는데 있다.

무역계약(Trade Contract)

무역거래는 국제물품매매계약을 비롯한 국제물품운송계약, 보험계약 등 다양한 형태의 계약이 체결되어 수행된다. 따라서 본 교과목에서는 국제물품매매계약과 이에 부수적으로 체결되는 대금결제계약, 국제운송계약, 보험계약, 중재계약 등에 관하여 연구한다. 이를 위해 영국 물품매매법, 미국 통일상법전, 비엔나 협약에서 규정하고 있는 법규정 및 인코텀즈 등 국제상관습을 중심으로 하여 무역계약의 성립, 이행, 종료에 따른 제문제를 연구 검토하고 무역거래분쟁 예방을 위한 무역계약체결의 실제에 대해서도 연구한다.

e-수출입통관(Electronic Customs Clearance)

관세는 국가재정수입의 원천뿐만 아니라 국내산업보호의 중요한 장치로서 각국의 무역정책의 가장 기본적인 수단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무역거래과정에서 반드시 거쳐야 하는 통관 절차와 국제관세기구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게 하고, 전자통관에 관하여 수출입통관절차, 반송, 부두직통관 등의 실무적인 사항들을 익힌다. 또한 우리나라의 관세법, 관세제도, 관세정책에 대하여 연구한다.

국제거래법(International Trade Law)

국제매매거래를 위한 계약 성립에서부터 계약의 이행 및 분쟁해결에 이르기까지의 국제거래와 관련한 국제법규 및 관행을 비롯하여 국내법의 학습을 통하여 국제거래 관련 법률을 연구함으로써 국제거래 관련 법리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소셜미디어와 국제무역(Social Media and International Trade)

소셜미디어는 개방화된 온라인 툴과 미디어 플랫폼을 이용하여 생각과 의견, 경험 등을 공유함으로써 일방적인 소통이 아닌 관계 맺기와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정보에 대한 신뢰구축이 용이하기 때문에 고객과의 소통을 위한 마케팅수단으로써 그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그러나 소셜미디어는 매우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어 철저한 사전준비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교과목에서는 다양한 소셜미디어의 활용무역기업의 소셜미디어 활용을 위한 사전준비를 위한 고려사항, 개별 미디어의 활용과 다양한 미디어들간의 연계를 통한 활용방안 및 소셜미디어 활용에 따른 리스크요인과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원산지관리실무(Origin Management Practices)

협정이 체결되면서 원산지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각 FTA협정별, 품목별 관세율 및 원산지결정기준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FTA 무역환경에서 관세특혜 및 이윤 극대화를 전략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FTA 관련 인력 양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교과목에서는 원산지관리와 관련한 FTA협정 및 법령, 물품품목분류, 수출입통관 및 원산지결정기준 등에 대하여 연구함으로써 원산지관리에 관한 실무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비즈니스중국어(Business Chinese)

글로벌 비즈니스를 성공으로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비즈니스 회화와 작문은 필수이다. 따라서 본 교과목에서는 일상적인 생활영어를 바탕으로 비즈니스를 위해 필요한 표현인 일정 확인, 문의, 약속, 주문, 협상, 계약, 클레임 등 현장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표현들을 다루고자 한다.

산업체현장실습Ⅰ(★)(Field Training Ⅰ)

무역학도로서 그 동안 습득한 무역 관련 이론적 지식을 실무현장에서 응용하게 함으로써 무역실무 적용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관세법(Customs Act)

관세법은 관세의 부과징수와 수출입물품의 적정한 통관을 규정하고 있으므로 조세법적 성격과 통관법적 성격을 동시에 지닌다. 또한 법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처벌규정 및 처분의 불복에 대한 절차를 규정하고 있으며 국제협약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교과목은 무역업계의 종사자로 하여금 관세법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갖도록 하여 수출입 관련 업무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국제대금결제론(International Payments)

무역거래는 2국간의 거래이기 때문에 국내 상거래와 달리 대금회수와 관련한 위험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대금결제방법의 안전성을 강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무역결제방식으로는 송금결제방식, 추심결제방식 그리고 신용장방식, 국제팩토링방식 및 전자결제방식 등 다양한 결제방식들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교과목에서는 무역대금결제에 대한 기본원리 및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고, 신용장을 중심으로 추심결제방식 등 기타 결제방식과 비교ㆍ검토하여 무역거래 당사자 사이의 대금결제 방법의 선택과 적용에 대하여 연구한다.

국제물류관리(Trade Enterprises Analytics)

오늘날 대다수의 기업은 무역을 하지 않고는 살아갈 수 없다. 기업분석은 기업경영을 분석하고 컨설팅 한다. 본 교과목은 학생들에게 경영분석의 기본적인 내용을 쉽고 명료하게 전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무역기업분석론(Analyses of Trade company)

액션러닝기법으로 기업의 As-Is를 분석하고 진단한 이후 To-be를 설정하여 Gap을 해결하는 문제해결 프로세스를 연구한다.

무역리스크와 보험(Trade Risks and Insurance)

국제무역의 이행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위험의 대비책으로서 보험의 활용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보험의 이론적 기초를 학생들에게 정립시키고 해상보험이론 및 실무를 영국해상보험법 및 국내외 해상보험 관계법규에 맞추어 강의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손해보험 및 무역보험 전반에 걸친 이해를 높이는데 그 목적을 둔다.

무역물품분류(Tariff Item Classification)

관세품목분류는 무역업무 및 통관과정에 적용될 각종 법률과 세율을 결정하는 출발단계에 해당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최근 들어 우리나라는 세계각국과 자유무역협정(FTA)체결이 확대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특혜관세부과대상 및 원산지 결정에 있어서 품목분류의 정확성과 상품학 지식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관세품목분류의 기준과 원칙을 학습하고 이해하도록 한다.

산업체현장실습Ⅱ(★)(Field Training Ⅱ)

무역의 이론적인 지식을 현장에서 응용하게 함으로써 실무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무역물류법규(Distribution and Logistics Law of International Trade)

오늘날 물류의 개념과 범위가 확대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물류와 관련된 법규를 정리하여 학습할 필요가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화물유통촉진법, 유통단지개발촉진법 등과 같은 여러 물류관련법에 관하여 정리한 물류규범, 시행령 및 시행규칙 등의 내용을 조문별로 구분하지 않고 연계하여 정리하여 관련법 전체의 흐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무역과 창업(Establishment of Trade)

만일 내가 무역창업을 해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들이 반드시 필요할까? 부족함과 위협요인이 있다면 어떻게 보완하고 대처할 것인가? 등의 질문을 실제 창업 전에 해보고 이에 대한 나름의 대처와 준비를 하는 자세를 갖기 위한 기본 원리와 실무적인 자료를 중심으로 그 내용을 살펴본다. 본 교과목은 학생들에게 취업의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 미래의 설계를 위해 창업에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무역마케팅실습(★)(International Trade Marketing Practice)

무역마케팅의 이론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실제로 마케팅계획을 수립하고 응용하게 함으로써 마케팅실무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전자무역실습(★)(e-Trade Practice)

물품을 수출입하는 전자무역에 대한 전체적 흐름에 따라 관련 전자적인 무역 흐름을 이해하고 관련 전자서류를 작성하면서 무역에 사용하는 전자무역 전문용어 등에도 친숙해지도록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산업체현장실습Ⅲ(★)(Field Training Ⅲ)

무역의 이론적인 지식을 현장에서 응용하게 함으로써 실무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무역클레임(International Trade Claims)

무역이란 언어, 법규, 상거래 관행 등이 서로 다른 외국인과의 상거래활동이기 때문에 거래당사자 간에 분쟁이 발생될 수 있는 개연성이 높다. 일단 한번 발생한 무역분쟁은 어떻게든 해결하여야 무역업 종사자들이 경제적이고도 효율적인 분쟁해결방법을 추구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강좌에서는 국제무역분쟁의 제 해결방법을 개관하고 무역분쟁의 해결수단으로서 국제상사중재제도가 선호되는 이유를 밝힌다. 이어서 국제상사중재제도의 본질과 중재판정부의 구성과 관할권 및 중재절차의 관리, 중재판정의 승인 및 집행 등 국제상사중재제도의 전반에 걸쳐 고찰한 후 주요국가의 상사중재제도를 비교 탐구한다.

전자무역세미나(Electronic Trade Seminar)

온라인 네트워크를 활용한 무역 관련 정보의 활용능력을 배양을 통하여 전자무역거래상의 제반 문제에 관한 연구와 향후 발전과제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전자무역에 대한 이해력과 적용능력을 제고시키고자 한다.

수출입시뮬레이션실습(Export-Import Simulation Practice)

자신이 수출 혹은 수입하고자 하는 물품을 정한 다음, 그 물품을 수출입하는 상황을 스스로 연출해보면서 무역에 대한 전체적 흐름을 이해하도록 한다. 또한 관련 법규를 알아보고 서류를 작성하면서 무역에 사용하는 용어 등에도 친숙해지도록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과목
시수개인협업
과목코드과목명

과학적
사고
창조적
상상력
문제
해결
능력
의사
소통
능력
도덕적
가치
판단
공동체
의식
1GT11003무역인의창의성개발330 YYY Y
2GT12702무역실무330  Y  Y
2GT12701국제통상론330Y Y   
2GT11007무역조사방법론322YYY  Y
2GT11008국제경제학330  Y   
2GT12001무역마케팅330 YY   
2GT12020국제운송물류론330 Y    
3GT12708무역영어330  Y   
3GT12024비즈니스 중국어330  Y   
3GT12709e-수출입통관330Y Y   
3GT12027국제경영330 YY   
3GT13001소셜미디어와 국제무역322   Y  
3GT12714무역대금결제론330  Y  Y
4GT12706전자무역330  Y  Y
4GT12013원산지 관리실무330Y Y   
4GT13008캡스톤디자인 1300 YY   
4GT12021무역중재 330Y Y   
4GT12015무역마케팅실습322 YY   
4GT12014무역과 창업330  YY  
1GT11003전자상거래와 무역정보330 YYY Y
1GT11006글로벌리더십과
비즈니스매너
330 YYY Y
2GT12707무역계약330  Y  Y
2GT11010무역전산회계실무322YYY  Y
2GT11701국제금융 및 외환관리330  Y   
2GT12003비즈니스영어330  Y   
2GT12703국제유통론330 YY   
2GT12004FTA와 국제무역330Y Y   
3GT12009관세법330   Y  
3GT12705무역관계법330Y Y   
3GT12006국제거래법330Y Y   
3GT12011무역리스크와 보험330  Y  Y
3GT12017무역기업전략분석론 322 YY   
3GT12022소셜미디어마케팅 330 YY   
4GT12016무역세미나330  Y  Y
4GT12018전자무역세미나330  Y  Y
4GT12019수출입시뮬레이션실습322Y Y   
4GT12028글로벌비즈니스세미나322 YY   
4GT13013캡스톤디자인Ⅱ300 Y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