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서소개
도시화 현상의 가속화 및 젊은 층의 지속적인 인구유출에 따른 고령화 현상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농촌지역의 전통문화 및 자원의 단절이 우려되고 있으며, 농촌 지역 커뮤니티 해체가 가시화되고 있다. 더욱이 WTO(세계무역기구)에 의한 농산물 수입자유화에 따른 경제 피해가 더욱 커지고 있고, 일자리 창출에는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지역의 서비스 수준도 미비한 상황이다. 또한 중앙 정부 중심의 획일적인 지역개발을 추진하고 있고, 많은 예산 투입에 비해 재정 자립도 미비한 상황이라 지역 발전에 있어서 외부 의존도는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활력을 잃어가는 농어촌 마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어 사람살기 좋은 아름다운 마을을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지속가능한 개발을 통한 환경보전 및 새로운 수익모델을 창출하여 농어촌 경제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소는 한국 농촌형 활성화 방안에 대한 다학제간 연구진을 기반으로, 농어촌 마을이 사람살기 좋은 곳이 될 수 있도록 생산·경제·주거·문화·교육 공동체의 총체적인 시각에서 연구를 추진한다.
주요담당업무
- 농어업 부가가치 증진과 농업경영개선을 위한 조사, 관리, 연구, 교육 및 기술보급에 관한 사항을 추진
- 지역 특산물의 부가가치 증진 및 디자인 개선을 위한 조사, 관리, 연구, 교육 및 기술 보급에 관한 사항을 추진
- 창의적인 문화환경, 지속가능한 환경개발을 위한 조사, 관리, 연구, 교육 및 기술보급에 관한 사항을 추진